2025년 8월 3일(일)
과테말라에서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이주, 인신매매, 가정폭력 등 다양한 형태의 폭력과 방임 속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수년간 개선되지 않고 반복되고 있다.
국제 비정부기구 KidsRights의 보고서에 따르면, 과테말라는 아동의 권리 보호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후퇴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로 평가되며 국제 아동권리 지수(KidsRights Index)에서 과테말라는 2025년 기준 194개국 중 170위로 하락했다.
영양실조, 교육 및 의료 접근성 부족, 빈곤, 폭력 등은 아동의 권리를 침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아동권리보호연합(Ciprodeni)의 엘레나 베하라노(Elena Bejarano) 대표는 “아이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부모나 보호자 없이 스스로 이주를 결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부패한 환경, 인신매매, 갱단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내 다른 지역 또는 인접국으로 이동한다.
“실종은 일상”… 알바케넷 경보시스템 15년
2025년 8월, 실종 아동 경보 시스템인 알바케넷(Alba-Keneth) 제도는 도입 15년을 맞지만, 실종자 발생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현재 경보 발령 후에도 624건이 미해결 상태이며, 실종 경보는 한 달 평균 500건 이상, 많게는 735건까지 발생하고 있다.
특히 0~4세 아동, 그리고 13세 이상 소녀들이 실종 대상에서 두드러진다.하지만 실종 경보 문자 전송 기능(Cell Broadcast)은 여전히 미가동 상태이며, 관련 기관들은 기술적·법적·재정적 대안을 검토 중이다.
아이들이 집을 떠나는 이유는 단순히 생계를 위한 이주가 아니라 가정폭력, 성폭력, 갱단 위협 등 생존을 위한 도피인 경우가 많다. 일부는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등으로 탈출하거나 국내 타 지역으로 은신한다. 심지어 가족 단위로 도망치는 사례도 있으며, 불법 입양 범죄까지 병존한다.
최근 정부는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고위급 협의체를 재가동할 예정이지만, 실질적인 변화는 더딘 상황이다. 과테말라 대통령직속 기관인 ‘사회복지청’(Secretaría de Bienestar Social de la Presidencia, SBS)의 예산은 4억 2,500만 께찰로 대통령 직속 기관 중 최대지만, 현재까지 예산 집행률은 39%에 불과하다.
Alianza Guatemala의 카롤리나 에스코바르 사르티(Carolina Escobar Sarti) 대표는 “어떤 정부도 아동을 정책의 중심에 두지 않았다”며, 통합 보호 시스템의 부재가 문제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2017년부터 ‘아동·청소년 보호 시스템 법’ 제정안은 의회에서 계류 중이며, 기관 간 중복된 기능과 혼란을 해결하려던 시도는 7년째 표류하고 있다.
Prensa Libre